[가정 행복통신문] 두려움을 정제하면 길이 보인다
두려움은 흔히 피해야 할 감정, 발전과 기쁨, 성공을 가로막는 장애물로 여겨진다. 그러나 나는 많은 사람들이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고 본다. 우리는 용감한 이들, 두려움을 모르는 이들, 흔들림 없는 이들을 찬양하는 문화 속에 살아간다. 하지만 두려움은 인류의 역사만큼이나 오래된, 인간 경험의 근본적인 일부다. 그것은 우리의 선택과 결정, 생존 본능은 물론 창의성마저도 형성한다. 두려움을 무조건 부정적으로 여기거나 가볍게 치부하는 것은 그것이 지닌 성장과 통찰의 가능성을 간과하는 일이다. 두려움은 단순한 감정이 아니다. 그것은 실패에 대한 두려움, 알 수 없는 것에 대한 불안, 상실의 공포, 심지어 성공에 대한 두려움까지 다양한 얼굴을 지닌다. 이런 감정들은 미묘하거나 혹은 노골적인 방식으로 우리의 삶을 지배하며 세상을 바라보는 방식까지도 결정한다. 가령, 많은 사람이 대중 앞에서 연설하는데 대한 두려움이 있는데, 이는 단순히 사람들 앞에서 말하는 것에 대한 공포가 아니다. 그 이면에는 평가받는 것에 대한 부담, 실수할까 하는 걱정, 단어 하나를 잘못 발음하는 불안, 충분히 흥미롭지 못할 것 같은 두려움, 그리고 결국 자신의 내면을 타인의 시선에 노출하는 데 대한 근본적인 불안이 자리하고 있다. 두려움의 본질은 보호 본능이다. 그것은 우리가 무모한 위험을 피하고, 스스로를 지켜낼 수 있도록 돕는다. 극단적인 경우에는 수많은 생명을 구하기도 했다. 그러나 두려움은 때때로 우리를 마비시키기도 한다. 도전이 필요한 순간에도 안전한 길만을 고집하게 만들고, 성장의 기회를 스스로 차단하게 한다. 결국 중요한 것은 두려움을 단순히 회피하는 것이 아니라, 그 본질을 정제하고 이해하는 일이다. 경고의 신호와 비합리적인 과장된 공포를 구분할 수 있어야 한다. 그렇다면 두려움이 가득한 세상에서 우리는 어떻게 앞으로 나아갈 수 있을까.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두려움을 대하는 우리의 태도를 바꾸는 것이다. 두려움을 극복해야 할 장애물로만 여기지 않고, 그것을 신호이자 길잡이로 바라볼 필요가 있다. 정제된 두려움이란, 그것이 삶의 자연스러운 일부이며 유용한 도구가 될 수도 있음을 인정하면서도, 동시에 그것이 우리를 지배하도록 내버려 두지 않는 것이다. 여기에는 두 가지 요소가 필요하다. 두려움을 직면할 용기, 그리고 그것이 지닌 역할을 인정할 겸손함이다. 정제된 두려움은 단순한 감정을 넘어선다. 그것은 우리의 본능을 예리하게 만들고, 선택지를 찾게 하고, 철저한 준비를 하도록 이끌며, 진정성을 추구하게 한다. 더 나아가 우리를 더 높은 곳으로 도약하도록 동기를 부여한다. 올바르게 이해하고 재구성된 두려움은 우리를 가로막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앞으로 나아가게 하는 원동력이 된다. 두려움을 정제하는 법을 배운다면, 즉 불안의 첫 파동에 휩쓸리지 않고 그 본질을 직시할 수 있다면, 우리는 더 깊은 자기 이해와 창의적인 돌파구를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두려움이 엄습할 때, 억지로 밀어내려 하지 말고 이렇게 자문해보자. 이 두려움은 나에게 무엇을 가르치려 하는가? 무엇에 집중하라고 말하는가? 나는 어떤 계획을 세울 수 있을까?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사람은 누구인가?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는 순간, 우리는 두려움의 희생자에서 벗어나 그것을 이해하고 활용하는 능동적인 존재가 된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평온과 답을 찾고, 깨달음과 위안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캐서린 염 / 한인가정상담소 소장가정 행복통신문 정제 길이 이들 두려움 불안 상실 감정 발전